이번 글은 나스를 구매하고 더 추가된 부속 및 장비들의 경험기를 써볼까 합니다.


꼭 필요한 것들은 아니지만.. 혹시라도 구매하신다면 참고하셔도 좋겠네요.
(총 4가지라 글이 조금 길어요.)

1 – WD(Western Digital) Easystore

어떤 것부터 경험기를 더해볼까 하다가 이것으로 시작을 해야겠네요.

나스에 하드디스크를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나스 본체와 하드디스크를 각각 따로 구매하거나, 하드와 같이 패키지로 구매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저는 ‘외장하드’ 를 활용했습니다.🤭

이는 가성비를 노리는 방법인데, 외장하드를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같은 할인 기간에 구매하여, 내장되어 있는 하드디스크만 따로 나스에 장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나스 전체로 봤을 때 하드를 6개(4베이 + 2베이) 장착할 수 있다 보니 한 번에 베이를 채우기는 비용이 높아서 저 방법을 택했습니다. (아직도 다 못 채운건..ㅜㅜ)

하지만 지금 글을 쓰는 시점에서 보자면 해외 직구 제품은 매력이 없어져 추천하기는 어렵겠네요. 이 전에는 직구 제품도 국내 관련 업체를 통해 보증 서비스 받는 등 이점이 있었지만, 지금은 아쉽게도 제한이 많아졌습니다. (사실 하드를 따로 빼낼 때 케이스 파손 등의 위험도 있어, 다른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추천하기는 애매하긴 했습니다.)


하드디스크를 제조하는 업체는 여러 곳이 있는데, 저는 주로 씨게이트(Seagate)WD(Western Digital) 의 제품을 주로 구매하는 편입니다. 그중 WD의 외장하드는 Easystore 나 Elements 등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만, 할인에 맞추고 용량에 맞추고 하다 보니.. 나스에는 위에서 말한 WD Easystore 제품을 많이 장착한 거 같네요.🙄

추가로, 장시간 켜놓고 쓰는 나스에 맞게 내구성이 높은 ‘나스 전용 하드디스크’ 라며 각 제조사마다 판매하고 있는데, Easystore에 내장된 것도 이 전용 하드와 사양이 동일하다는 커뮤니티 의견도 있어 구매 시 참고했습니다.

일단, 뽑기 운이 좋았는지 지금까지 쓰면서, 소음 문제나 기타 오류들도 없고 대체적으로 만족하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남은 베이쪽에는 하드디스크를 어떻게 더 추가해야 할지 저로서도 고민이…

아무튼, 하드디스크라는 녀석도 단순히 용량 이 외에도 나름의 사양이라는 게 있어서, 내장된 하드디스크든 나스 용도로 제작된 하드디스크든 꼭 구매 전에 하드디스크에 대한 정보들도 한 번씩 공부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Western Digital Easystore 이미지
[출처 : Bestbuy]


2 – Silicon Power SODIMM Laptop Notebook Memory

나스에 도커를 돌리기 시작하면서, 메모리(램)가 부족해져 구매했습니다.

DS918+ 는 기본적으로 4GB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는데, 설명서 상으로는 최대 8GB까지 확장 가능하다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 리뷰나 국내 커뮤니티에서 보면 16GB도 인식된다는 후기들이 있어 좀 더 찾아본 후 구매 및 장착했습니다.

(다다익램이니까 8GB보다는 16GB 최대로…🤣)

리소스 모니터 - 메모리
[리소스 모니터 – 메모리]

이미지와 같이 현재 열심히 일하고 있답니다.


메모리는 시놀로지 전용이라며 나온 제품(DS918+ : D3NS1866L-4G)도 있고, 호환되는 브랜드로는 Crucial, 삼성 등이 있습니다만, 저는 그냥 아래의 제품으로 선택했으며 결과적으로 인식도 문제없고, 이상 없이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구매 당시 미국 아마존(Amazon)에서 제품($39.99) + 배송비($5.39) 정도로 저렴한 가격에 혹해서 그만..)

혹시나 저처럼 시놀로지 나스에 메모리 교체 또는 추가를 하신다면 유튜브에도 관련 영상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네요. 딱히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Silicon Power RAM
[ Silicon Power Hynix IC Compatible for Apple DDR3 DDR3L 16GB (2 x 8GB) RAM 1600MHz (PC3 12800) 204 pin CL11 1.35V Non ECC Unbuffered SODIMM Laptop Notebook Memory RAM Module Upgrade]
[출처 : Amazon]


3 – APC BACK-UPS BR550GI

구매 전 고민의 기간이 길었던 장비입니다.

뭐든 구매 전에 고민을 제법 하는 편이긴 합니다만, 단순하게 살까 말까 보다는 ‘이거 내가 꼭 필요한 제품인가?’ 하는 스스로에게 물음표를 엄청 띄웠던 녀석입니다.
(어찌 보면 별 기능도 없는 제품이라 그런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들어보셨나요?
바로 UPS라고 하는 장비인데요.
(보통 유피에스라고 하네요.)

처음 들어보거나, 한 번쯤이라도 들어봤거나 혹은 이미 잘 알고 있거나…
뭐 어쨌든 나스를 사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장비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장비치고는 막상 개인 사용자는 그렇게 많지 않은 듯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라고 해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라고 하는데요.
쉽게 얘기하자면, 휴대폰에 보조배터리를 연결하는 것처럼 나스에 그런 기능을 더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깊게 따지자면 작동 방법 등 엄청난 차이가 나지만.. 배터리라는 큰 개념은 비슷합니다.🙃
아무튼 UPS에 연결된 장비들이 집에 정전이 되더라도 한시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최대한 안전하게 종료되도록 시간적인 여유를 제공해 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이 UPS라는 장비를 처음에는 정말 구입해야겠다는 생각이 전혀 없었는데요.

어느 날 아파트에 정전이 진짜 잠깐 한 번 있었는데, 데이터에 오류가 생긴 적이 있었습니다. 중요 데이터는 백업해 놔서 문제가 없긴 했지만 앞으로 또 이런 일이 없을 거라는 보장도 없고.. 데이터를 날려먹으면 아깝기도 하고.. 무엇보다 이제 도커 애플리케이션들(지금 글을 쓰고 있는 블로그를 포함)이 중요하다 보니 데이터 보호 차원에서 구매를 고민하게 됩니다.

막상 오류 난 데이터를 보면서도, 어찌나 구입 전에 고민을 했던지..;;

그래도 이제 와서 봤을 때, 장비 및 데이터를 보호해야 한다면,
‘UPS가 꼭 필요한가?’ 구매를 망설일 것이 아니라, 꼭 구매해야 하는 필수 장비라고 생각합니다.

UPS 설치 전에는 전혀 몰랐는데, 설치하고 보니 생각보다 전압 같은 게 출렁(?)인다든지, 전봇대가 쓰러져(?) 정전이 된다든지 등 여러 가지 전기적인 문제에서 보호를 받고 있구나 느낄 때가 많았습니다. 이를테면 컴퓨터, TV 등 전자제품도 사용 중이고 조명장치도 다 켜져 있는, ‘표면적으로 전기 쪽 문제가 전혀 없는 상태’ 인데도 UPS가 갑자기 삐-삐- 소리를 낸다거나 스위치가 딸깍거릴 때 보면..

아~ 돈값 하는구나 싶습니다. 😀


UPS도 여러 브랜드 및 종류가 있는데,
저는 APC 브랜드, BACK-UPS BR550GI 모델로 구매했습니다.

APC BACK-UPS BR550
[출처 : APC 코리아]

멀티탭 형태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적당한 용량과 LCD가 있어 선택했습니다.
이 LCD에 뭔가 엄청난 기능이 표시되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멋있으니까 만족합니다. 뭐.. 지금은 단종 제품이지만 딱히 소모적인 장비가 아니기도 하고, 사용하다가 배터리만 교체하면 문제없을듯합니다.

나스가 있다면, 지르세요.
UPS 강력 추천합니다! 😆

4 – NETGEAR GS108Tv3 (8-Port Gigabit Ethernet Smart Switch with Cloud Management)

마지막으로 스위치 허브입니다.

나스와 같은 랜선을 이용하는 장비들이 많아져 구매했습니다.
라고 설명하고 싶은데, 랜포트가 부족한 줄 어찌 알고 어느 날 아마존(Amazon)에서 할인을 해주는 게 아닙니까..

…역시 충동구매 크으… 😍


POE 포트도 있고, 클라우드 관리도 지원되고 하는데, 딱히 목표를 두고 구매한 제품은 아니라서 일단 기능적으로는 허브 용도로만 쓰고 있습니다.😐

[출처 : Amazon]

외부가 메탈 재질로 되어 있어 발열에는 좋아 보입니다.
정확한 측정은 할 수 없지만.. 플라스틱으로 된 제품 등과 비교해 보면 변색도 없고 지금껏 사용하면서 문제를 일으킨 적도 없습니다.

추후 LACPSMB 멀티채널 등 네트워크 부분에서 조금 더 건드려 본다면 이 제품의 기능을 더 활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